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즐거운 일상

식혜는 맛있어!



 식혜(食醯, 문화어: 밥감주)는 한국의 전통 음료로, 후식으로 마시는 단맛의 음료이다.

쌀밥에 엿기름가루를 우려낸 물을 부어서 삭혀 만드는데, 기호에 따라 쑥이나 약초 등을 넣기도 한다. 삭힌 식혜는 그 위에 이나 모양을 낸 대추를 띄워 마시기도 한다. 단술이나 감주(甘酒)로 부르기도 하지만, 이들은 누룩을 이용해 발효한 알콜이 약간 함유되어 있는 음료를 일컫는 말로 주로 쓰인다.

호박 식혜는 찐밥에 단호박을 삶아 우려낸 물로 만든다. 엿기름으로 우려낸 물 대신 단호박으로 우려낸 물로 담근다. 취향에 따라 설탕을 넣어 먹기도 한다.

안동 지방에서 식혜라 하면, 찹쌀 또는 맵쌀을 고들하게 쪄서 엿기름 물에 담고, 생강즙을 짜 넣고 고춧가루로 물을 내 삭힌 음료를 말한다[1]. 독특한 고명을 첨가하는 경우가 많다. 안동에서는 붉은 색을 띠는 이런 형태의 음료를 식혜라고 하고, 그렇지 않은 것들을 감주라고 부른다.

수정과(水正果)는 한국의 전통 음료 생강, 곶감, 계피를 이용해 만든다.

생강을 달인 물에 곶감은 식힌 뒤에 넣으며, 설탕이나 꿀로 단 맛을 낸다. 흔히 을 띄워 차갑게 마신다. '비락 수정과'처럼 캔에 담아 파는 상품도 있다. 현대에 와서는 주로 식사를 마친 후 후식처럼 마시기도 한다.

단술 감주(甘酒) 라고도 하며 쌀로 밥을 되직하게 지어 누룩을 부어 삭힌 음식이다. 전통 한국 술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발효가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술 성분은 매우 낮다. 여러 시간 동안 60도 정도의 온도에서 발효시켜 먹는다.

단 맛이 나며, 얼음을 넣어서 시원하게 먹기도 한다. 단술은 식혜라고도 하지만, 단술과는 달리 식혜는 술로 분류하지 않는다.

 


 위는 식혜에 관하여 위키백과에서 발췌한 내용이다. 식혜는 한국의 전통 음료다. 예로부터 쌀이 주식인 국가였던 만큼 이 음료의 주 원료도 쌀이다. 달콤한 맛에다 불은 밥풀을 떠먹는 재미가 있는 무척 독특한 음료라고 할 수 있겠다. 가끔 설날이면 어머니가 만드시곤 한다. 어려서 함께 사셨던 외할머니 음식 솜씨가 무척 좋으셨는데 지금 생각해 보면 하실 줄 아시는 요리의 양도 실로 방대했던 것 같다. 식혜도 무척 맛있게 끓이셨는데 역시 우리 어머니의 방식도 외할머니의 그것과 같아 무척 맛있다. 상당히 다양한 외국 인스턴트 음료가 판치는 세상이지만 가끔 마시는 이 식혜만한 것도 찾기 어려운 것 같다. 한참을 실컷 끓여서 추운날 밖에 내 놓았다 살짝 살 얼음이 얼었을 때 마시면 가장 그 맛이 좋다.

 


 한국 전통 음료의 양대 산맥이라하면 식혜와 함께 수정과를 빼 놓을 수 없다. 식혜는 가끔 어머니가 만든 것을 먹곤 하지만 외할머니가 돌아가신 이후로는 직접 손수 만든 수정과를 먹어본 기억은 없다. 수정과는 씁쓰름한 계피향이 강해 어려서는 그렇게 좋아한 것 같지 않지만 지금은 왠지 그 맛이 그립기만 하다. 가끔 음식점에서 후식으로 나오는 수정과는 이 맛과는 큰 차이가 있다. 계피향이 조금 나긴 하지만 대체로 설탕맛이라고 할 수 있다. 어려서 외할머니는 주로 곶감과 꿀 약간으로 단맛을 냈는데 그리 단 맛이 강하진 않았으며 곶감과 계피의 향이 진하게 났었다. 


 위키백과를 살펴보며 감주와 단술이라는 명칭도 정확히 알게 되었다. 이쪽은 누룩을 사용해 좀 더 오래 삭혀서 약하게 나마 알콜을 만들어낸 엄연한 주류다. 역시 어려서 먹어본 기억이 있지만 알콜 성분 때문에 씁쓸했던것 같다. 또 호박이나 약초, 쑥이 들어간 식혜가 있다는 점도 무척 생소한 사실이다. 더욱이 안동의 붉은 식혜는 정말 신기하기도 하고 그 맛이 궁금하기도 하다. 그리고 식혜의 한자 '食醯'는 그 의미가 참 의문스럽기만 하다. '食'자야 먹는다는 뜻이라지만 '醯'자는 신맛이나 식초를 의미하는 한자이다. 혹시 좀 더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식혜가 더욱 강하게 발효되어서 신 맛이 났던 것일까?


 식혜는 잘 보존되었으면 하는 한국의 전통 음료다. 사실 만드는 법도 번거롭고 시간이 꽤 필요하긴 하지만 그리 어렵지는 않다.


 식혜에 대한 나의 느낌을 굳이 표현해 보자면 항상 든든하게 옆에 있는 것은 아니지만 가끔 만나면 무척이나 반갑고 그리운 그런 사람같다고나 할까? 


 어쨋든 우리 외할머니의 식혜 제조법은 어머니에게 이어졌고 어머니의 제조법은 이미 누나에게 전수되었다. 다행이 잊혀질 것 같진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