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史記)는, 중국 전한 왕조의 무제 시대에 사마천이 저술한 중국의 역사서이며, 중국 이십사사의 하나이자 정사의 으뜸으로 꼽힌다. 초기에는 《태사공서》(太史公書)로 불렸는데, 후한 말기에 이르러 처음 '사기'라 불리게 되었고 이것이 현재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명칭으로 쓰이고 있다. 「본기(本紀)」 12권, 「표(表)」10권, 「서(書)」8권, 「세가(世家)」30권, 「열전(列傳)」70권으로 구성된 기전체 형식의 역사서로서 그 서술 범위는 전설상의 오제(五帝)의 한 사람이었다는  (기원전 22세기)에서 기원전 2세기 말의 전한 무제까지를 다루고 있으며, 그 서술 방식은 후대 중국의 역사서, 특히 정사를 기술하는 한 방식의 전범(典範)이 되었고, 유려한 필치와 문체로 역사서로서의 가치 외에 문학으로서도 큰 가치를 가진 서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편찬시기는 기원전 109년에서 기원전 91년 사이로 추정된다. 《사기》와 같은 역사책을 짓는다는 구상은 이미 사마천의 아버지인 사마담 때부터 존재했으나, 사마담은 자신이 그 일을 완수하지 못하고 죽음을 맞게 되자 분개하며 아들 사마천에게 자신의 뒤를 이어 역사책을 짓는 일을 완수해줄 것을 유언으로 남겼다. 사마천은 그러한 아버지의 유언을 받들어 《사기》의 편찬을 계속하게 되었다. 그런데 기원전 99년, 사마천은 흉노에 투항한 자신의 친구 이릉(李陵)을 변호하다 무제의 노여움을 사서 투옥되고, 이듬해에는 궁형에 처해졌다. 옥중에서 사마천은 고대 위인들의 삶을 떠올리면서 자신도 지금의 굴욕을 무릅쓰고서 역사 편찬을 완수하겠다고 결의하였다고 한다. 기원전 97년에 출옥한 뒤에도 사마천은 집필에 몰두했고, 기원전 91년경 《사기》는 완성되었다. 사마천은 자신의 딸에게 이 《사기》를 맡겼는데, 무제의 심기를 거스를 만한 기술이 《사기》 안에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이었고, 선제 시대에 이르러서야 사마천의 손자 양운(楊惲)에 의해 널리 퍼지게 되었다고 한다.

당대(唐代)에 사마천의 후손 사마정(司馬貞)이 《사기색은》(史記索隱)에서 《죽서기년》(竹書紀年) 등을 참조하여, 과거 사마천이 서술하지 않은 오제 이전의 삼황(三皇) 시대에 대해서도 「삼황본기」(三皇本紀)를 짓고 「서」(序)도 곁들였다.


『사기』의 내용 전반을 관통하고 있는 사상은 바로 「하늘의 도라는 것은 옳은 것인가, 그른 것인가(天道是非)」에 대한 질문이기도 하다. 하늘의 도리, 즉 인간의 세상에서 이루어져야만 하는 올바른 길이라는 것이 정말 존재하기는 하는 것인지에 대한 물음이다. 《사기》 열전에서 가장 먼저 다루고 있는 「백이열전」(伯夷列傳)에서 사마천은 의인(義人)임에 틀림없는 백이와 숙제가 아사(餓死)라는 초라한 죽음을 맞은 것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이에 대해서는 사마천 자신이 과거 친구이자 이릉의 불가피한 항복을 변호했던 올바른 행동을 하고도 궁형이라는 치욕스러운 형벌을 받은 것에 대한 비통함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 있다.

그가 《사기》를 집필하던 시대 한 왕조는 무제에 의한 유교의 국교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공자에 대해서도 제후(諸侯)가 아닌 그를 굳이 세가(世家)의 반열에 넣은 것도 그러한 이유에서였다. 《사기》의 기술은 유교 사상이 주가 되는 와중에 다른 사상도 가미되어 있는데(사마천 자신이 도가에 특히 호의적이었기 때문이었다고도 한다) 이것은 「사실」을 추구한다는 역사서 편찬 목적에서 비롯되었다. 반진(反秦) 세력의 명목상의 영수(領袖)였던 의제의 본기를 짓지 않고 실질적인 지배자인 항우의 본기를 지은 것도, 여후의 꼭두각시에 불과했던 혜제를 본기에서 제외하고 마찬가지로 「여후본기(呂后本紀)」라는, 여후의 본기를 지은 것도, 그러한 자세의 발로였던 것으로 보인다.

왕후(王侯)를 중심 대상으로서 서술하면서도 민간의 인물을 다룬 「유협열전」(遊侠列傳), 「화식열전」(貨殖列傳), 암살자의 전기를 다룬 「자객열전」(刺客列伝) 등 권력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에 대한 기술도 많다.

또한 당시 무제와 외척간의 추악한 권력다툼을 묘사한 「위기무안후열전」(魏其武安侯列傳)이나, 남색(男色)이나 아첨으로 부귀를 얻은 자들을 다룬 「영행열전」(佞幸列傳), 법률을 등에 업고 위세를 부리며 사람들을 괴롭혔던 관리들의 이야기를 모은 「혹리열전」(酷吏列傳)과 더불어 법률을 가지고 사람들을 올바르게 이끌었던 관리들에 대해서도 「순리열전」(循吏列傳)으로 정리하는 등, 안이한 영웅 중심의 역사관에 치우치지 않는 유연하고 다양한 시점유지도 눈여겨볼 점이다. 뿐만 아니라 당시 한의 숙적이었던 흉노를 비롯한 주변 기마민족이나 이민족에 대해서도 한의 가치관을 기준으로 논평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인 사실만을 담담하게 쓴다는 태도로 임하고 있다.

이러한 사마천의 태도는 유교가 중국 사회의 주도권을 잡게 되면서 종종 비판 대상이 되었다. 《한서》를 지은 반표의 경우 사마천이 건달이나 졸부 같은 인물을 사서에서 다루고 유교를 경시하며 도교에 가까운 입장을 취했다며 비판했고, 《문심조룡》(文心雕龍)에서는 여자인 여후를 본기로서 서술했다며 비난하였다. 《사기》를 일종의 악서(惡書)로 보는 시점은 몹시 일찍부터 존재했는데, 성제 때에 제후인 초왕(楚王) 유우(劉宇)가 한 조정에 《태사공서》를 요구했는데, "옛날의 합종연횡(合従連衡)이며 권모술수가 자세히 담겨 있는 책이라 제후들에게 읽게 할 책이 아니다"라는 의견이 나와 결국 허락되지 못했다는 것이다.[1] 또한 촉한의 초주(譙周)는 사서의 편찬은 경서(經書) 즉 유교 서적에만 의거해야 하는데 《사기》는 그러지 않고 제자백가의 설까지 인용했다며 비난하고, 《고사고》(古史考) 25편을 지어 유교 경전에 비추어 《사기》의 오류를 교정하기도 했는데, 《고사고》는 훗날 당대에도 《사기》를 읽을 때면 함께 읽히곤 했음을 당대 유지기(劉知畿)가 편찬한 《사통(史通)》 고금정사편(古今正史篇)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후대에는 《사기》와 《한서》의 비교 분석이 많은 지식인에 의해 이루어졌다.


역사 서술을 위한 간결하면서도 힘찬 문장은 「문성(文聖)」 또는 「백전노장의 군대 운용」과 같은 것으로 격찬받았다. 특히 「항우본기」는 명문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정사로서 기술된 당대 역사적 사건에 대한 기본 정보는 섬세한 기술로 당시의 생활이나 습관을 알 수 있는 부분이 많다. 특히 「서(書)」의 내용은 전한 시대의 세계관이나 정치, 경제, 사회 제도 등에 대한 중요한 자료로 꼽힌다. 또한 흉노를 비롯한 주변 이민족이나 서역에 대한 기술도 현재 알려져 있는 지리와 유적 발굴 등에서 판명된 당시 상황과의 정합성이 높고, 이러한 지방의 당시를 알기 위한 귀중한 단서가 되어 있으며, 진시황 본기의 "진시황이 자신의 무덤에 근위병 3천 인의 인형을 묻었다"는 기술에 대해서도, 시안 시 교외의 병마용갱 발견으로 그 정확성이 증명되었다.

한편, 《사기색은》이 인용한 《죽서기년》 등과의 비교 작업에서 연대 모순 등의 문제점이 종종 지적되고 있다(예를 들면  왕가의 요와 합려의 세대간의 가계도 등).


 위는 사마천의 사기에 관한 위키백과의 내용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중국은 그 거대한 영토와 다양한 문화 유구한 역사 만큼이나 불멸의 가치를 지닌 책가 다양하게 존재한다. 사마천의 사기 역시 유구한 시대를 초월한 불멸성을 가지고 있는 명작이다. 사마천은 스스로 정의를 행했음에도 궁형(궁형(宮刑)은 남/여의 생식기에 가하는 형벌로서, 남성은 생식기를 제거 (거세:去勢)하고, 여성은 을 폐쇄하여 자손생산을 불가능하게 하는 형벌이다. 춘추전국시대에 행해진 이 형벌은 사형을 당하게 되는 죄인 (사형수)에게 사형과 궁형 중 선택할 수 있도록 했는데 사형을 선택하면 사람들에게 존경받는 반면 궁형을 택하면 그 사람의 모든 명예는 무시되었다. 따라서 당시에는 궁형이 사형보다 더 큰 형벌로서 인식되었다. 사마천은 이 궁형을 당한 후에도 굴하지 않고 사기를 편찬했다.)을 당하고 그 상황에서도 의지를 잃지않고 정열을 쏟아 130권에 달하는 사기를 편찬했다. 사기는 중국 고대, 은주 시대에서부터 사마천의 당대인 한대에 이르는 역사와 함께 중국과 중국 주변을 아우르는 다양한 이야기를 다루는 역사서의 형태를 하고 있으면서도 그 문학적 가치도 높이 평가받고있다.

 이런 중국의 명서 사기를 꼭 한 번 재대로 읽어보고자하는 열망은 항상 가지고 있었다. 우연한 기회에 지하철역 간이 서점에서 단돈 7,000원에 판매되고 있는 사기를 발견하고 구입해 읽게 되었다. 이 사기는 130권에 달하는 사기의 내용을 사기와 사기 열전 두 권에 담아내고 있는 만큼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런 만큼 이 책만의 장점도 적지않다. 사기 전체가 다루고 있는 이야기를 한 권의 책으로 한 번 간단히 훑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 하겠다. 또한 단 한 권 책자임에도 500페이지 분량은 생각보다 많은 내용을 담아내고 있다. 한권에 방대한 내용의 사마천의 사기를 담아내기 위해 많은 노력을 쏟은 흔적이 보인다.

 최근에 주위에서 역사서를 읽는 이를 본 적은 없다. 아마도 눈 앞에 보이는 실질적인 이득을 기대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일 수도 있겠다. 과거의 역사 속에서 현재와 미래에 제공할 교훈을 찾는다라는 말이 많이 쓰이긴 하지만 글쎄....

 나는 역사 이야기를 무척 좋아한다. 그렇다고 과거 이야기에서 큰 교훈을 얻어 실질적인 이득을 기대하는 것은 아니다. 단순한 흥미와 재미, 지식욕의 자극에서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 조차도 큰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2100년이 넘는 역사를 뛰어넘어 나에게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선사하고 있는 사기, 어찌 재미있지 않겠는가?! 앞으로 꼭 한 번 더욱 깊이있게 다루어진 사기를 읽어보고 싶다. 





 카네기의 인간관계론은 분류를 구분하자면 내가 가장 싫어하는 자기계발서라는 장르로 불릴 수 있는 서적이다. 그중에서도 성공이나 처세, 리더쉽 등 내가 가장 관심없어하는 분야를 주로 다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정말 우연한 기회에 읽게된 이 카네기의 인간관계론은 생각보다 깊은 인상을 안겨주었다. 대체로 에세이나 자기계발서가 얕은 경험적 지식에 의한 시스템적인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작용과 반작용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면 데일 카네기가 쓴 인간관계론에서는 좀 더 철학적인 수준의 인간 소통법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성공적인 인간 소통법을 바탕으로 성공에 이르는 기본을 다질 수 있다는 주제를 가지고 있다. 인간 성공의 가치관은 실로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서점의 책장을 가득 매우고 있는 소위 자기계발서라는 책자들은 한결같이 하나의 가치관만을 강요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카네기는 성공이 무엇이라고 딱히 규정하기 보단 자신이 원하는 성공에 이르기 위해 성공적인 인간관계가 필요할 경우를 대비해 기본을 다져놓을 수 있는 철학적 사고관을 제시하고 있다.

 가끔은 우연히 손에 든 책자가 깊은 인상을 남기곤 한다. 때론 그 책자가 취향 밖의 내용을 다루고 있을 때도 있다. 이런 점에서 취향의 편협함은 많은 새로운 자극의 기회를 발로 차 버리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정말로 우연한 기회에 읽게 되었던 카네기 인간관계론, 재미있고 특이한 책이었다.



<1987년 작 영화 천녀유혼의 인상 깊은 포스터>


 서극( 徐克) 김독의 천녀유혼(天女幽魂)은 1987년 홍콩 영화의 전성기에 등장해 큰 성공을 거둔 영화로 당시를 살았던 많은 한국인들의 추억 속에도 적지 않은 인상을 남긴 작품이기도 하다. 최근 우연찮게 오래된 이 영화를 다시 보게되어 이렇게 포스팅을 해 보게되었다. 지금 보기에는 흐른 세월 만큼 유치함이 많이 느껴지기도 하지만 당시 어린 나이에 맛보았던 감동만큼은 지금도 여전히 즐겨볼 수 있다는 점이 놀랍기만 하다. 특히 장국영이 직접 부른 천녀유혼의 OST의 감동은 평생 잊을 수 없을 것 같다.


 <2011년에 개봉한 유역비 주연의 영화 천녀유혼>


 비교적 최근인 2011년에는 유역비(劉亦非, 1987~)라는 걸출한 매력(개인적으로 당시 왕조현의 매력에 필적할 매력을 가진 여배우라고 생각하지만 이 영화에서는 그 매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한 것 같아 아쉽다.)을 가진 배우를 주연으로 기용했지만 과거 천녀유혼의 매력에는 크게 모자른 영화였던 것 같다. 기대만큼 실망감도 컸지만 나름 재미있게 보긴 하였다.


<두 주연배우가 열연한 영채신과 섭소천의 순수하고 애틋한 사랑 이야기는 영화의 큰 매력이었다.>

 

 영웅본색으로 이미 국내에서도 스타덤에 등극해 있던 장국영(張國榮, 1956. 9. 12~ 2003. 4. 1), 아직 국내에서는 잘 알려지진 않았던 상태였지만 이 영화 천녀유혼의로 크게 이름을 알리게 되는 왕조현(王祖賢, 1967, 1, 31~), 이 두 범상치 않은 배우가 주연한 영화이기도 하다. 지금은 고인이 되어버렸지만 당시 31살의 나이로 순수하면서도 빈틈 많은 성격의 남자 주인공 영채신을 연기한 장국영, 요염하면서도 풋풋함과 청순한 매력을 잘 조화시킨 섭소천을 연기한 당시 20살의 신인 배우 왕조현, 두 배우의 매력은 이 영화의 재미를 크게 높여주었다.

 

<영화 천녀유혼의 원작 섭소천이 수록된 요재지이>


 하지만 천녀유혼의 매력은 걸출한 배우에만 있지는 않다. 신비로우면서도 깊은 여운을 남기는 영화 전체의 스토리 역시 큰 감동을 안겨준다. 이 천녀유혼의 이야기는 사실 무(無)에서 창조된 것이 아니다. 천녀유혼 이야기의 원작은 명,청대의 문인 포송령이 지은 요재지이(聊齋志異)에 수록된 섭소천이라는 한 일화이다. 그리고 천녀유혼의 흥행성공에 힘입어 만들어진 천녀유혼의 후속작 천녀유혼2 인간도, 천녀유혼3 도도도는 천녀유혼1의 뒷이야기를 원작없이 가상으로 만들어낸 이야기이다. 사실 영화 천녀유혼과 원작 섭소천은 큰 이야기의 흐름 이외에는 큰 차이를 보인다. 재미삼아 몇가지 차이를 짚어보겠다.


<요재지이의 저자 포송령, 그는 명청 변혁기의 혼란한 시대에 뜻을 이룰 꿈이 좌절되자 요재지이 집필에 전념했다.>


 첫째로 주인공 영채신은 영화 천녀유혼에서는 수금원이라는 구체적인 직업과 수금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마을을 방문하지만 요재지이 섭소천의 영채신은 온화한 성품의 선비라는 설명이외에는 뚜렸한 신분 설정이 없으며 마을을 방문한 이유에 대한 구체적 설정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원작의 영채신은 이미 병약한 부인을 하나 가지고 있는 상태로 등장한다. 


<영화 천녀유혼에서 연적하를 연기한 배우 우마, 원작과는 다르게 강한 인상이 특징이다.>


 두번째로 영화 천녀유혼에서 영채신, 섭소천 이외에 제3의 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귀신잡는 도사 연적하에 대한 설정의 차이점이다. 영화에 등장하는 연적하는 세상을 등진 검객으로 도술에 능하다. 세상을 한탄하며 술을 마시며 노래를 부르며 검무를 펼치는 모습으로 처음 등장한다. 외모는 흡사 삼국지의 장비 처럼 고슴도치의 바늘 같은 거친 수염에 강인한 성격의 소유자로 표현된다. 하지만 원작의 연적하에 대한 표현은 이와는 사뭇 다르다. 이야기의 중요한 배경인 난약사에서 우연히 영채신과 만난다는 설정에는 변함이 없지만 원작의 연적하는 좀더 온화하고 부드럽게 표현된다. 실제로 원작의 영채신이 연적하에게 받은 첫 인상은 '과거를 준비하는 선비가 아닐까?' 라는 의문이었다. 하지만 알고 보니 그는 귀신조차 두려울 만한 도술을 지닌 검객이었다.


<장국영이 직접 부른 영화 천녀유혼의 OST>


 세번째로 이야기의 결말 역시 큰 차이를 보인다. 영화에서는 섭소천의 유골을 묻어주고 극락왕생하여 좋은 전생을 비는 것으로 여운있는 결말을 보이지만 원작의 내용이 좀더 해피엔딩(?)에 가깝다. 영채신은 귀신 섭소천의 신세를 불쌍히 여겨 유골을 구해와 집 앞 양지바른 마당에 묻어주지만 병약한 아내에게 일편단심의 태도를 보이다. 그녀가 병으로 죽자 귀신인 섭소천의 지극한 정성에 그녀를 아내로 맞이해 아이까지 낳고 섭소천은 점점 인간으로 변화해 간다. 그리고 섭소천의 권유로 첩까지 들여 훌륭한 자식들을 낳아 좋은 인생을 살아가는 것으로 끝을 맺고 있다. 


<영화 천녀유혼의 엔딩 OST '여명이여 오지 말아요(의역임)'>


 이 밖에도 원작과 영화에서는 세세한 차이점을 많이 보이고 있다. 


  <장국영 대신 양조위가 남자 주인공으로 열연한 천녀유혼3 도도도, 천녀유혼1의 100년뒤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개인적으로 어떤 이야기가 더 좋냐고 묻는다면 쉽게 답을 내리지는 못할 것 같다. 두 이야기 모두 나름의 큰 매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원작의 내용이 현대의 정서에 크게 차이나는 점이 많기 때문에 영화의 내용에 한 표를 던져줄 사람들이 더 많을 것이라는 짐작은 쉽게 가능하지만 말이다. 어쨌든 나에겐 원작인 요재지이도 3편으로 제작된 영화 천녀유혼도 모두 큰 재미를 안겨준 작품이었다. 마지막으로 아래 내가 작성한 요재지이에 관한 포스팅을 링크해 놓는다.



2013/03/06 - [즐거운 취미와 문화/독서는 마음의 양식] - 요재지이 그 기괴하고 아름다운 이야기 속으로!




 제목 : 요재지이(聊齋志異)

 저자 : 포송령(蒲松齡, 1640~1715)

 권수 : 국내 민음사 판본 6권


 요재지이(聊齋志異)는 정말로 기괴하고 아름다운 수많은 이야기들의 묶음이다. 중국의 기서(寄書)의 하나로 높이 평가받는 고전이기도하다. 중국의 명, 청 변혁기를 산 포송령이 생전에 오랜 시간을 들여 집필한 것으로 요재지이의 '요재'란 포송령의 거대한 서재의 이름이다. 요재지이란 요재가 기록한 기이한 이야기를 뜻한다고 볼 수 있다. 요재지이는 포송령이 중국 각지에서 모은 기이한 이야기들을 그의 방식으로 기록한 책으로 귀신, 요괴등이 자주 등장하고 인간과 관계하며 재미있으면서도 독특한 여운을 남기는 이야기들이 가득하다. 때로는 인간 이외의 것들이 인간 이상으로 인간다운 모습을 보이거나 인간과 사랑이나 우정을 나누기도 한다. 괴이한 세계와 인간의 현실이 절묘한 균형을 이루고 있어 신비함과 함께 다양한 생각할 거리를 재공하기도 한다. 과거 장국영, 왕조현 주연하여 관객에게 적지않은 감동을 안겨준 영화 천녀유혼은 이 요재지이에 기록된 이야기 중 섭소천을 바탕으로 제작된 것이기도 하다. 작디 작은 한국에서도 오래전부터 전해내려오는 기괴한 전래동화나 민담들이 많다. 중국의 거대한 대륙과 그 곳에서 살아가는 수 없이 많은 사람들, 그리고 다양한 문화가 만들어낸 기괴한 민담, 설화, 신화의 숫자는 실로 그 수를 상상하기 힘들 정도일 것이다. 포송령은 이러한 이야기들을 모으는 것을 취미로 가지고 있던 사람이다. 명, 청 변혁기에 펴려던 꿈이 좌절되면서 이런 독특하고 가치있는 이야기들을 추리고 정리해 요재지이 창작에 몰두하였다. 얼마나 많은 양의 읽을 거리가 잔뜩 녹아들어 있을지는 쉽게 상상이 가능할 것이다. 나는 기괴하고 재미있고 독특한 이야기라면 두 팔을 벌려 환영하는 사람이다. 한국의 전래 민담도 정말 재미있는 것이 많지만 요재지이와 같은 중국의 다양한 기서는 나의 독서욕구를 강하게 자극하고는 한다. 

 


제목 : 바이킹(Viking)
저자 : 팀 세버린(Tim Serverin, 본명 : Timothy Serverin, 1940~)
권수 : 총 3권 완결 1권 - 오딘의 후예, 2권 - 의형제, 3권 - 왕의 남자


 바이킹이란 800~1,050년 사이 유럽 북부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생활했던 민족을 뜻한다. 무역과 약탈로 주로 생계를 유지하였으며 해양 활동을 활발히 하였으며 한 곳에 정착하여 생활한 이들도 있었다고 한다. 최근 1,000년 경 북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고 당시 이주까지 이루어졌다는 설이 유력하게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들은 아메리카 대륙을 빈란드라고 불렀다고 한다.

 소설 '바이킹'은 동명의 제목에 알 수 있듯이 이 바이킹들을 이야기거리로 하고 있다. 소설 등에 자주 사용되는 작가의 상상력 즉, '허구'라는 의미의 '픽션(Fiction)'과 역사서에나 아울릴 단어인 '사실'이라는 의미의 '팩트(Fact)', 이 두개의 어울릴 것 같지 않은 단어를 결합해 '팩션(Faction)'이라는 단어로 이 소설 바이킹을 표현하고 있다. 그만큼 이 '바이킹'이라는 소설은 당시 북유럽을 무대로 활동했던 바이킹의 이야기를 너무도 생동감있게 표현하고 있다. 아마도 이 소설의 작가가 단순한 소설가가 아니기 때문에 가능했던 작품이 아닌가 한다.

 '바이킹'의 작가 팀 세버린의 정확한 직업은 모험가라고 할 수 있다. 지리학과 역사학을 전공하던 팀 세버린은 옥스포드 재학 시절 이륜 자동차(motorcycle)을 타고 과거 마르코 폴로의 여행 경로를 따라 모험을 펼쳤으며 유명한 켈트족 모험가 브랜던의 자취를 따라 가죽 보트를 타고 대서양을 횡단하기도 하였다. 그 후로도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 대륙 등을 모험하였으며 그의 모험 기록들은 디스커버리나 내셔널 지오그래픽 등의 유명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에서 방영되며 모험 다큐멘터리의 고전이 되었다고 한다. 2005년에는 그가 연구한 다양한 북유럽 사가(Saga)들을 바탕으로 바이킹 시대의 말미를 섬세하게 표현한 소설 바이킹을 출판해 좋은 반응을 얻었고 현재 아일랜드에 거주하며 그의 다양한 모험과 지식을 바탕으로한 강의를 하고 있으며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고정 필자로 일하고 있다.

 바이킹은 고대 그리스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남쪽 유럽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독자적인 북유럽 문화를 구축하고 살아가던 민족의 이야기를 섬세하고 박진감있게 펼쳐나간다.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그리스 신들 못지 않게 멋진 매력을 가지고 있는 북유럽 신들의 이야기가 버물어진 북유럽 민족의 생생한 이야기가 신비한 능력을 가진 바이킹, 토르길스의 모험 행적을 쫒아 정말 재미있게 펼쳐진다.
  


제목 : 신곡 (La divina commedia)
저자 : 단테 아리기에리 (Dante Alighieri)
출판 : 서해문집

 중세 시대에 쓰여진 단테의 신곡은 자칫 그 철학적, 종교적 사색의 깊이 때문에 어렵고 따분한 책으로 오해받기 쉽습니다. 하지만 700년 가까이의 세월 속이에서도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읽혀지고 있는 고전 명작은 의외로 너무도 재미있고 기발한 상상력과 가슴 깊은 사랑의 이야기로 어울어진 읽기에 전혀 지루하지 않은 작품입니다. 혹시 이 작품에 대한 선입견 때문에 아직 읽어 보신 적이 없는 분들이 있다면 긴 세월을 뛰어넘어 아직도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 불후의 명작을 꼭 감상해 보시길 바랍니다. 
  1304년에서 1321년 사이에 쓰여진 것으로 알려진 이탈리아의 단테 아리기에리가 집필한 신곡은 원래 14,233의 삼연체 형식 운문으로 이루어진 방대한 작품입니다. 실제로 이러한 신곡의 원본을 읽어내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일 것이며 국내에서는 더욱 쉽지 않은 일입니다. 하지만 국내에도 일반 독자가 쉽게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간결화 시키고 산문화 시킨 서적들이 많이 존재합니다. 그 중 제가 본 서해문집에서 출판한 서적은 이탈리아 주세페 반델리(Giuseppe Vandelli)가 주해를 단 'La divina commedia Milano Urico Hoepli, 1928)를 번역한 것으로 멋진 중세시대의 그림들과 삽화들로 글을 읽는 내내 눈을 즐겁게 해 줍니다. 그리고 자세한 주해와 해설들도 책을 좀더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줍니다. 
 중세의 걸출한 작가 단테와, 그의 마음속의 영원한 여인 베아트리체, 로마의 시인 베르길리우스와 함께 지옥, 연옥, 그리고 천국으로 여행을 떠나 보시길 바랍니다. 

 위의 사진은 제가 처음 신곡이라는 작품을 접한 한국독서문화원의 신곡입니다. 1981년 인쇄된 서적으로 나이가 엄청 많습니다. 종이도 이미 상당히 누렇게 바래었습니다. ㅋㅋ하지만 아직도 가끔 펼쳐보게 만드는 매력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세로쓰기 방식으로 쓰여져 있으며 책이 표기된 가격이 1400원 입니다. 평생을 소장할 생각이지만 책이 버텨낼까요? ^_^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