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리데이비슨(Haley-Davison)은 미국의 이륜자동차 제조사로 1903년 위스콘신주 밀워키의 두 청년 윌리엄 S 할리(William S. Haley)와 아서 데이비슨(Athur Daivison)이 공동 창업한 이후 현재까지 심지 강한 개성과 뛰어난 매력으로 단순한 이륜자동차 회사를 넘어서 미국을 대표하는 하나의 아이콘으로 자라잡고 있다.

 

 2차세계대전에 힘입어 경쟁사였던 인디언(Indian)을 재치고 성공가도를 달리던 할리데이비슨은 1960년대 혼다(Honda)를 필두로한 일본산 이륜자동차의 경제성에 밀려 심각한 경영란을 겪게 된다. 당시 현실에 안주하던 할리데이비슨은 무려 50%에 달하는 불량 생산률을 보여주었으면 이는 일본산 이륜자동차 제조사의 5% 불량률에 비교할 바가 아니었다. 결국 파산 위기에 직면한 할리데이비슨은 레저용품 제조사 AMF에 합병되게 된다.


 AMF에 합병된 할리데이비슨은 이후로 저가의 저배기량 이륜자동차만을 제조하며 근근히 연명을하게 된다. 하지만 이에 불만을 품은 할리데이비슨의 몇몇 임원들은 할리데이비슨을 다시 독립시키고 다시금 할리데이비슨의 명성을 회복시키기 위한 도전을 하게 된다. 어찌보면 무모해 보이기까지 했던 이 도전이 현재의 할리데이비슨이 있도록 성공적인 결과를 낳은데는 크게 두가지 요소를 주목해 볼만 하다. 하나는 H.O.G(Haley Owners Group)의 할리데이비슨 사랑과 두번째로 할리데이비슨만의 굳은 심지는 상하지 않으면서도 자유로운 개성 표현을 도모한 다양한 튜닝 가능성을 심어넣었다는 점이다.


 할리데이비슨은 여전히 강력한 충성심의 매니아 소비자들을 가지고 있었고 이들은 H.O.G라는 할리데이비슨 소유자 동호회를 만들어 할리데이비슨의 부활에 강한 촉매역할을 해 주었다. 또한 독립한 할리데이비슨은 이들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경쟁사인 일본의 제조사들과 같은 방향성을 추구해, 할리데이비슨만의 강력한 개성을 퇴색시키지 않으면서도 불량률이 높았던 엔진의 견고성을 확보하며 다양한 튜닝 용품을 이용한 자유로운 개성 표현을 추구하였다. 결국 이러한 접근법은 큰 성공을 거두어 2000년에는 일본의 이륜자동차 제조사들을 따돌리고 세계 최대의 이륜자동차 제조사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그 동안 10여년의 세월을 일본산 이륜자동차만을 타오던 나는 왜 갑자기 미국산 대표 이륜자동차 할리데이비슨을 선택하게 되었을까? 사실 이륜자동차 자체의 성능만을 비교하자면, 또한 가격대비 성능을 비교하자면 절대 할리데이비슨은 일본산 이륜자동차들의 상대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나는 할리데비슨을 선택한 점에있어서 큰 만족을 얻고 있다. 일본산 이륜자동차에 비하여 소음과 진동이 심하고 강력한 주행풍을 견뎌내야하며 무겁고 느리다. 하지만 다시 선택해도 일본산 이륜자동차보다는 할리데이비슨 883R을 선택할것이다.


 일제 이륜자동차들은 최고속, 마력수, 최경량, 최첨단의 경쟁을 끊임없이 해 왔으며 아직도 그 싸움의 결론은 나지 않았다. 덕분에 손쉽게 200~300Km/h의 속도 영역을 넘나들고 온갖 전자창치와 가벼운 차체 덕분에 쉽게 누구나 탈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마지막으로 CBR1000RR을 타던 나는 속도계를 보고 급히 속도를 줄이면서 문뜩 이런 생각을 하게 되었다. 어! 벌써 250Km/h야? 근데 왜 별 주행풍을 느끼지 못할까? 이런 무시무시한 속력구간에 들어서면서도 왜 내가 눈치채지 못했을까? 그리고 마지막으로 하게된 질문은 '내가 지금 진짜 이륜자동차를 타고 있는것이 맞을까?'였다.


 최근 할리데이비슨 XL883R이라는 느리고 무겁고 진동이 심한 이륜자동차를 타고 있지만 그동안 사라져가던 이륜자동차에대한 애정이 다시금 살아나고 있음을 느낀다. 처음 내가 이륜자동차에게서 매력을 느낀 이유는 단지 빨라서가 아니다. 시원한 주행풍을 느끼고, 1000도가 넘는 온도로 폭발하고 있는 엔진의 생생한 고동감을 느끼고, 온몸의 모든 감각으로 속도감을 느끼게 해 주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내가 앉아있는 철덩어리가 주는 큰 존재감 때문이었다. 나는 이륜자동차를 타고 있다는 것을 느끼기 위해 이륜자동차를 탄다.

 위에 적어놓은 소견은 단지 개인적인 취향일 뿐 누구에게 강요하거나 내 생각이 정답이라는 것을 강조 위해 쓴 것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 Recent posts